본문 바로가기
돈 모으기 프로젝트!/재테크 공부

[재테크 공부] 자산관리의 시작! 재무 포트폴리오 만들기!

by 에밀라 2022. 2. 13.
반응형

[재테크 공부] 자산관리의 시작! 재무 포트폴리오 만들기!

 


포트폴리오 이론이라고 노벨 상을 받은 예일대 교수의 명언이다. 포트폴리오 이론이란 내 자산을 모두 한 곳에 몰빵해서 서 투자하는게 아니고 전체적으로 골고루 분산했을 때 위험이 분산되더라 하면서 시작된 이론.

계란은 한바구니에 담는 게 아니다.

 

 

1. 안전성

2. 수익성

2.유동성

 

부동산 : 투자 이후 수익률이 하락할 가능성이 적고 집이란 자산이 남기 때문에 안전성 자산이라 분류

주식: 안전성은 낮으나 한번에 크게 벌 수 있음.

채권: 안전성은 주식보다 높으나 이익률은 주식보다 낮음.

현금: 유동성이 높은 자산

+

원자재: 물건을 만들 때 필요한 원자재 (원유 등~)

금: 금은 호황일 때 보다 불황일 때 잘 나감(경제에 대한 불안감을 먹고 상승)

 

반응형

한국 부자의 자산 포트폴리오

총 자산의 반 정도가 부동산이었고, 나머지 금융자산은 현금이 40% 나머지 주식이 15% 그리고 채권이 5%정도 나머지 기타 자산이 11%정도로 나타남. (19년 12월에 나타난 지표로 경제위기를 감안해 폭락장을 예상해 주식이나 부동산을 사려고 현금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게 아닐까 하는 의견)

 

영구 포트폴리오 : 가장 안정적인 포트폴리오

주식 25%, 금 25%, 채권 25%, 현금 25% 어떤 위험이 오더라도 자산을 지켜낼 수 있다고 주장하는 포트폴리오.

 

경기 호황 : 주식이 상승

인플레이션(물가가오르고 돈값이 싸지는 현상) : 금이 상승

디플레이션(지속적인 물가의 하락과 경기의 침체) : 채권, 현금

 

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3hqoL0rY99k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